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말레이시아에서 온라인 사업 시작하기 (비자, 세금, 시장 규모)

by 마루킁킁 2025. 4. 11.
반응형

디지털 노마드와 전자상거래 창업이 급증하는 요즘, 말레이시아는 아시아 내에서도 특히 주목받는 온라인 사업 거점 중 하나입니다. 저렴한 법인 설립 비용, 낮은 세율, 영어 사용 환경, 인터넷 인프라 등 창업 친화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어 한국인 사업자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말레이시아에서 온라인 사업을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할 비자 조건, 세금 구조, 시장 규모 및 유망 업종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겠습니다.

 

online-business-photos
Online Business @Pixabay

 

 

1. 사업 가능 비자와 외국인 창업 조건

 

MM2H 비자와 사업 가능 여부

MM2H(Malaysia My Second Home) 비자는 장기 체류 비자이지만, 원칙적으로 취업 및 사업 활동은 제한됩니다. 그러나 온라인 기반의 비대면 사업(예: 블로그 운영, 유튜브, 전자책 판매 등)이나 본인의 해외법인을 통한 사업은 일부 허용되는 회색지대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격적으로 말레이시아 내에서 합법적인 사업체를 운영하려면 ‘법인 설립 + 사업자 비자(Employment Pass 또는 Investor Visa)’ 조합이 필요합니다.

 

외국인 사업자를 위한 법인 설립 조건

말레이시아에서는 외국인도 100% 지분 소유의 회사를 설립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SDN BHD**(말레이시아식 유한회사)를 등록하게 됩니다.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최소 자본금: RM500,000 이상 (외국인 사업자 기준)
  • 현지 이사 1명 이상 필요 (법적으로 필수)
  • 로컬 비즈니스 주소 필요
  • 세무·회계 법인 통해 연간 회계 감사 필수

 

창업 후, 관련 부처의 승인을 받아 Employment Pass 또는 Dependent Pass를 발급받아 장기 체류가 가능합니다.

 

📎 참고 링크: 말레이시아 SSM (법인 등록부) 공식 사이트

 

Suruhanjaya Syarikat Malaysia (SSM) Pages - Home2

Compliance Details javascript:if(CalloutManager && CalloutManager.closeAll) CalloutManager.closeAll(); commonShowModalDialog('{SiteUrl}'+ '/_layouts/15/itemexpiration.aspx' +'?ID={ItemId}&List={ListId}', 'center:1;dialogHeight:500px;dialogWidth:500px;resiz

www.ssm.com.my

 

 

2. 말레이시아의 세금 체계: 온라인 사업자 관점

 

법인세 및 개인소득세

말레이시아의 법인세는 연 매출 240만 링깃 이하의 경우 17%, 그 이상은 24%로 적용됩니다. 이는 한국(법인세 22%~25%)에 비해 경쟁력 있는 세율입니다. 특히 **스타트업 및 디지털 사업자**는 일부 조세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소득세는 누진세 구조로, 소득 수준에 따라 0%~30%로 적용되며, 외국 소득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어 세무전문가의 상담이 권장됩니다.

 

전자상거래 사업자 등록과 SST

말레이시아는 GST 폐지 이후 SST(Sales and Service Tax)를 운영 중이며, 연매출 50만 링깃 이상일 경우 SST 등록이 의무입니다. 이커머스, 플랫폼 운영자는 세무 신고를 위한 E-Invoice 시스템을 도입 중이며, 2024년부터 디지털세 관련 규제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 콘텐츠 크리에이터도 ‘서비스 제공자’로 분류되어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조기 사업자 등록이 안전합니다.

 

📎 세금 정보 출처: 말레이시아 국세청 (LHDN) 공식 사이트

 

Lembaga Hasil Dalam Negeri Malaysia

 

www.hasil.gov.my

 

 

3. 온라인 시장 규모와 유망 업종

 

급성장하는 말레이시아 디지털 경제

2024년 기준 말레이시아의 이커머스 시장 규모는 150억 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며,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 중입니다. Lazada, Shopee, TikTok Shop 등 로컬 플랫폼뿐 아니라 Shopify, WooCommerce 기반 글로벌 판매자들도 시장에 활발히 진입 중입니다.

특히 MDEC(Malaysia Digital Economy Corporation)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2030년까지 GDP의 25%를 디지털 경제로 채우겠다는 국가 전략을 세우고 있어, 온라인 창업자는 우호적인 환경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한국인에게 유리한 유망 업종

  • 🇰🇷 K-뷰티 제품 판매: 한류 영향으로 인기 상승
  • 📦 드랍쉬핑 기반 스마트스토어 운영
  • 👩‍🏫 온라인 강의/컨설팅: 한국어, 디자인, 마케팅 등
  • 📹 유튜브, 블로그 등 수익형 콘텐츠 운영
  • 🍲 온라인 한식 밀키트, 간편식 판매

 

실제로 한국에서 사업자 등록 후 말레이시아 거주하면서, 배송은 국내에서 처리하고 고객 관리는 말레이시아에서 진행하는 ‘글로벌 원격 사업자’ 모델도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지 지원 프로그램

말레이시아 정부는 창업자에게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 중입니다. MDEC의 Malaysia Tech Entrepreneur Program(MTEP)은 외국 스타트업 창업자에게 초기 비자 및 보육 공간, 멘토링, 투자 연결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 참고: MDEC – Tech Entrepreneur Visa Program

 

Malaysia Digital Economy Corporation

Leading Malaysia's People Forward in Digital Economy

mdec.my

 

 

✔️ 결론: 말레이시아는 디지털 창업자에게 열린 기회의 땅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디지털 경제를 성장시키는 국가 중 하나로, 온라인 사업을 시작하려는 한국인에게 매우 유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영어 기반 커뮤니케이션, 다양한 정부 인센티브, 낮은 법인세율, 접근성 좋은 동남아 시장까지 고려할 때, 비용 대비 성공 확률이 높은 시장으로 평가됩니다.

물론 모든 나라가 그렇듯 초기 준비에는 정보와 전략이 필요합니다. 비자 조건, 세금 규정, 법인 설립 절차를 명확히 이해하고, 현지 회계사·법무사 등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안전하게 사업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디지털 콘텐츠, 이커머스, 원격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사업이 가능한 시대. 말레이시아에서의 창업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 출처: 아래 공식사이트에서 정보 참조함.

 

말레이시아 SSM (법인 등록부) 공식 사이트

말레이시아 국세청 (LHDN) 공식 사이트

MDEC – Tech Entrepreneur Visa Program

 

 

 


 

 

📚 함께 읽어 보기

 

말레이시아 현지 디지털 경제 업체와 핀테크 업체

 

말레이시아 현지 디지털 경제 업체와 핀테크 업체

말레이시아는 디지털 경제 및 핀테크 산업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현지 및 글로벌 기업들이 이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E-commerce), 디지털 결제(Digital Payment), 온라

goldyongyong.com

 

 


 

 

 

반응형